라젠드라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젠드라 1세는 971년경에 태어난 촐라 제국의 왕으로, 아버지 라자라자 1세와 함께 공동 통치를 시작하여 1014년 왕위에 올랐다. 그는 갠지스강 원정을 통해 "강가이콘다 촐라" 칭호를 얻었으며, 동남아시아 원정을 통해 "카다람 콘단" 칭호를 얻는 등 광대한 영토를 확장했다. 또한 갱가이콘다 촐라푸람을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고 브리하디스와라 사원을 본뜬 갱가이콘다 촐레스와라 사원을 건립했다. 라젠드라 1세는 1044년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라자디라자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세기 인도의 군주 - 하르샤 팔라
하르샤 팔라는 고대 카마루파 왕국을 통치한 팔라 왕조의 시조로, 그의 시대에 카마루파는 건축, 예술, 문학이 발전하며 문화적 융성을 이루었고, 다원주의적인 종교적 특징을 보였다. - 11세기 인도의 군주 - 라자라자 1세
라자라자 1세는 985년부터 촐라 제국의 황제로 즉위하여 내정과 힌두교 장려에 힘쓰는 한편, 몰디브 제도와 스리랑카의 아누라다푸라 왕국을 정복하며 촐라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고 영토를 확장한 인물이다. - 촐라 황제 - 라자라자 1세
라자라자 1세는 985년부터 촐라 제국의 황제로 즉위하여 내정과 힌두교 장려에 힘쓰는 한편, 몰디브 제도와 스리랑카의 아누라다푸라 왕국을 정복하며 촐라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고 영토를 확장한 인물이다. - 촐라 황제 - 비자얄라야
비자얄라야는 850년경 탄자부르를 점령하고 촐라 제국을 부활시킨 촐라 왕조의 통치자이며, 팔라바로부터 독립을 선포하고 니숨바수다니 사원을 세웠다. - 힌두 군주 - 자야바르만 2세
자야바르만 2세는 앙코르 시대의 기초를 세운 크메르 제국의 건국왕으로, 802년 독립을 선포하고 힌두교 신앙과 데바라자 신앙을 확립하여 캄보디아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다. - 힌두 군주 - 자야 인드라바르만 6세
자야 인드라바르만 6세는 학문적 소양을 갖추고 유연한 정책을 펼치며 주변국과 교류한 참파 왕국의 군주였으나, 자야 하리데바에 의해 암살당했다.
라젠드라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군주 칭호 | 파라케사리 바르만 유다말라 뭄무디 촐란 강가이 콘단 카다람 콘단 자야심하 쿨라 칼란 찰루키아 추다마니 텔라가라마리 (텔룽구 쿨라 칼란) 라타파디 콘다 촐라 |
출생 이름 | 마두란타카 촐라 |
출생일 | 971년 7월 26일 |
출생지 | 촐라 제국 탄자부르 (현재의 타밀나두 주, 인도) |
사망일 | 1044년 |
사망지 | 촐라 제국 브라마데삼 (현재의 티루반나말라이, 타밀나두, 인도) |
매장일 | 1044년 말 |
매장지 | 인도 타밀나두 브라마데삼 |
종교 | 힌두교 |
![]() | |
통치 | |
칭호 | 촐라 황제 |
재위 기간 | 1014년 – 1044년 |
선임자 | 라자라자 1세 |
후임자 | 라자디라자 1세 |
공동 섭정 | 촐라 제국 |
공동 섭정 재위 기간 | 1012년 – 1014년 |
공동 섭정 유형 | 황제 |
공동 섭정 임명자 | 라자라자 1세 |
공동 섭정 후임자 | 라자디라자 1세 |
왕국 | 다키나데사의 왕 루후나의 왕 |
왕국 재위 기간 | 1017년 – 1044년 |
왕국 선임자 | 카사파 6세 |
왕국 후임자 | 라자디라자 1세 |
가문 | |
왕조 | 촐라 |
아버지 | 라자라자 1세 |
어머니 | 바나반 마하데비 일명 트리부바나 마하데비 |
배우자 | 트리부바나 (바나반 마하데비) 푸테리 오낭키 묵코킬란 판차반 마하데비 비라마하데비 |
자녀 | 라자라잔 라자디라자 1세 마누쿨라 케사리 상가 바르만 라젠드라 촐라 2세 라자마헨드란 비라라젠드라 촐라 아룰몰리 난가이야르 피라나르 암망가데비 |
군사 정보 | |
복무 | 촐라 육군 촐라 해군 |
복무 기간 | 992년 – 1044년 |
계급 | 세나티파티 (992년 – 1014년) 차크라바르티 (1014년 – 1044년) |
기타 정보 | |
별칭 | 강가의 전달자 케다의 정복자 |
2. 생애 및 업적
라젠드라 1세는 아버지 라자라자 1세의 통치 말기인 1012년부터 공동 통치자로 활동하며 촐라 제국의 군사 및 행정을 이끌기 시작했다. 1014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단독으로 왕위에 올랐으며, 그의 치세 동안 촐라 제국은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게 된다.
그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바탕으로 광범위한 정복 활동을 벌였다. 1016년에는 해군을 동원하여 스리랑카 섬 전체를 촐라의 지배하에 두었으며[9], 1017년에는 동부 케랄라, 1018년에는 몰디브와 락샤드위프 제도를 정복했다. 그의 가장 큰 군사적 업적 중 하나는 북인도 원정으로, 1021년부터 시작된 이 원정은 갠지스강 유역까지 진출하는 대성공을 거두었다. 이 승리를 기념하여 라젠드라 1세는 스스로에게 '갱가이콘단'(கங்கைகொண்ட சோழன்|강가이콘다 촐란tam, 갠지스강을 정복한 촐라)이라는 칭호를 부여하고, 새로운 수도 갱가이콘다 촐라푸람을 건설하여 웅장한 강가이콘다촐리슈와람 사원을 세웠다.[12]
또한 1023년부터는 동남아시아로 눈을 돌려 대규모 해군 원정을 감행했다. 1025년에는 스리비자야 왕국의 수도 카다람(케다)과 팔렘방 등 주요 거점을 공격하여 막대한 전리품을 확보하고 스리비자야 왕 상그라마 비자야퉁가바르만을 사로잡는 큰 전과를 올렸다.[39] 이 원정의 성공으로 '카다렘콘단'(카다람을 정복한 자)이라는 칭호를 얻었다.[28] 이러한 정복 전쟁을 통해 촐라 제국은 북으로는 갠지스강 유역, 남으로는 스리랑카 전역, 동으로는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까지 영향력을 확장하며 인도양의 제해권을 장악하고 해상 무역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라젠드라 1세는 1044년 현재 타밀나두 주의 티루반나말라이 구에 위치한 브라흐마데삼에서 사망했다. 그의 아들 라자디라자 1세가 남긴 비문에 따르면, 왕비 비라마하데비가 남편의 죽음을 따라 사티를 행했으며, 그녀의 유해는 라젠드라 1세와 함께 브라흐마데삼의 같은 무덤에 안치되었다고 전해진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라젠드라 1세의 정확한 출생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기원후 971년경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11] 그는 촐라 제국의 황제 라자라자 1세와 바나티 여왕(티리푸바나 마데비야르라고도 불림) 사이에서 태어났다. 라젠드라에게는 촐라 군대의 지휘관을 지낸 남동생 아라이얀 라자라잔과 최소 세 명의 누이가 있었다. 누이 중 한 명인 쿤다바이는 동찰루키아의 비말라디티야 왕과 결혼했으며(쿤다바이 프라티야르와는 다른 인물이다), 마하데비라는 딸이 있었다. 왕실의 다른 주요 인물로는 왕대비 단티사크티 비탄키, 즉 로카마하데비가 있다. 라젠드라의 출생 ''낙샤트라''는 티루바티라이 (아르드라)였다.
라젠드라는 아버지 라자라자 1세의 통치 말기인 1012년에서 1014년 사이에 황태자로 선포되어 아버지와 함께 촐라 제국을 공동으로 통치하기 시작했다. 이후 1018년에는 자신의 아들 라자디라자를 황태자 또는 공동 섭정으로 임명했으며, 라자디라자는 1044년까지 그 지위를 유지했다.
라젠드라 1세는 여러 명의 왕비를 두었는데, 트리부바나(또는 바나반 마하데비), 무코킬란, 판차반 마하데비, 푸테리 오낭키 등이 있었으며, 비라마하데비는 라젠드라가 사망하자 사티를 행했다. 그는 총 일곱 명의 아들과 두 명의 딸을 두었다. 아들들은 라자라잔, 라자디라자, 마누쿨라 케사리, 상가 바르만, 라젠드라 2세, 라자마헨드란, 비라라젠드라이다. 장남 라자라잔은 13세가 되기 전에 사망했고, 마누쿨라 케사리는 1021년 서찰루키아 제국과의 전쟁 중에 사망했다. 딸로는 아룰몰리 난가이야르 피라나르와 동찰루키아의 왕비이자 훗날 촐라 황제가 되는 쿨로퉁가 1세의 어머니인 암망가데비가 있다.
이름 | 어머니 | 출생 | 사망일 | 비고 |
---|---|---|---|---|
라자라잔 | 묵코킬란 아디갈 | 988년 | 불명 | |
라자디라자 1세 | 묵코킬란 아디갈 | 994년 | 1052년 (향년 58세) | 1044년부터 1052년까지 촐라 제국 황제. 코팜 전투에서 서찰루키아 제국에 대항하다 사망. |
마누쿨라 케사리 | 티리부바나(바나반 마하데비) | 994년 | 1021년 (향년 27세) | 1018년부터 1021년까지 체라의 촐라 총독. |
상가 바르만 | 판차반 마하데비 | 995년 | 1059년 (향년 64세) | 1024년부터 1059년까지 뭄무디촐라 만달람 (폴론나루와)의 촐라 총독. |
라젠드라 2세 | 묵코킬란 아디갈 | 997년 | 1064년 (향년 67세) | 1052년부터 1064년까지 촐라 제국 황제. 부친의 영토를 유지. |
라자마헨드라 | 불명 | 1000년 | 1060년 (향년 60세) | 1056년부터 1060년까지 형 라젠드라 2세의 공동 섭정. |
비라라젠드라 | 묵코킬란 아디갈 | 1002년 | 1070년 (향년 68세) | 1065년부터 1070년까지 촐라 제국 황제, 1067년부터 1070년까지 카다람(케다)의 왕. 카다람과 스리랑카에서 여러 반란을 진압했지만 스리비자야에 패배. |
아룰몰리 난가이야르 피라나르 | 불명 | 불명 | 불명 | 코둠발루르 왕 엘랑고벨 트리치라팔리의 왕비. |
아망가데비 | 불명 | 불명 | 불명 | 동찰루키아 왕 라자라자 렌드라의 왕비. 촐라 황제 쿨로퉁가 1세의 어머니. |
2. 2. 군사적 업적
라젠드라 1세는 아버지 라자라자 1세의 뒤를 이어 촐라 제국의 군사적 확장을 적극적으로 이끈 왕이다. 그는 아버지의 대리인으로서 이미 1002년부터 라스트라쿠타 정복, 서부 찰루키아 원정 등 군사 활동을 주도했다. 1012년부터는 아버지와 공동 통치자로서 인도 본토에 대한 전쟁을 시작하여, 오늘날 타밀나두 중부의 마루투바쿠디와 서부의 바나바시를 점령했다. 이듬해인 1013년에는 북부 안드라프라데시의 콜리파카이를 점령했다. 1014년에는 북부 카르나타카와 남부 마하라슈트라의 이르라티아파디 엘라라이이아캄을 상대로 전쟁을 이끌었으며, 서찰루키아의 수도 마나이카드캄(말케드)을 다시 점령하기도 했다.
1014년 라자라자 1세가 사망하고 라젠드라 1세가 단독으로 왕위에 오른 후, 그의 군사적 야망은 더욱 커졌다. 1016년, 그는 해군을 동원하여 스리랑카 섬 전체를 촐라 제국의 지배하에 두었다.[9] 1017년에는 동부 케랄라를 공격하여 쿠다말라이 나두를 점령했으며, 1018년에는 서쪽으로 눈을 돌려 몰디브와 락샤드위프 제도, 그리고 카바라티 섬(산디마쓰티부)까지 정복했다.
서부 찰루키아와의 충돌은 계속되어, 1019년에는 이르라타이파디 엘라라이이아캄(북부 카르나타카, 남부 마하라슈트라)에 대한 또 다른 원정을 감행했다. 이 과정에서 서찰루키아의 새로운 수도 칼리아니를 잠시 점령했다가 잃었으나, 무상기 전투 후 동부 카르나타카를 탈환했다.
라젠드라 1세의 가장 야심 찬 원정 중 하나는 북인도 갠지스강 유역으로의 진군이었다. 1021년, 그는 차티스가르 남부의 사카라코아탐을 점령한 것을 시작으로 군대를 북쪽과 북서쪽으로 나누어 보냈다. 촐라 군대는 오디샤, 북부 차티스가르, 자르칸드, 오늘날 방글라데시 지역을 거쳐 갠지스강에 도달하는 데 성공했다. 이 대승리를 기념하여 라젠드라 1세는 스스로에게 "갱가이콘단"(갠지스를 정복한 자)이라는 칭호를 부여하고, 새로운 수도 갱가이콘다 촐라푸람을 건설했다. 이곳에는 웅장한 갱가이콘다 촐라에스와렘 사원과 갠지스강에서 가져온 물로 채운 '촐라 갱감'이라는 거대한 저수지가 만들어졌다.[12] 이 사원의 주신인 페루부다이아르(시바 신의 링감)는 높이 약 3.96m, 둘레 약 6.10m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였다.

인도 본토에서의 성공에 만족하지 않고, 라젠드라 1세는 1023년부터 해외 원정에 나섰다. 크메르 제국과의 동맹, 탐브랄린가 왕국과 스리비자야의 분쟁 등이 배경이 되어, 1025년 대규모 촐라 함대가 인도양을 건너 동남아시아를 공격했다. 촐라군은 수마트라의 팔렘방, 판나이, 말레이 반도의 카다람(케다), 말라이유르 등 스리비자야의 주요 거점들을 습격하고 약탈했다.[39][35] 이 과정에서 스리비자야의 왕 상그라마 비자야퉁가바르만을 사로잡는 큰 전과를 올렸다.[39] 이 원정은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미얀마 남부 항구까지 미쳤다.[9] 동남아시아 원정의 성공으로 라젠드라 1세는 "카다렘콘단"(카다람을 정복한 자)이라는 칭호를 추가로 얻었으며,[28] 스리비자야와 카다람 정복을 기념하여 각각 비자이암콘다 촐라에스와렘 사원과 카다렘콘다 촐라에스와렘 사원을 건립했다.[13] 이 원정은 스리비자야의 해상력을 약화시키고, 이후 동남아시아에서 타밀 상인들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결과를 낳았다.[40][41][42]
라젠드라 1세의 끊임없는 정복 활동을 통해 촐라 제국은 북쪽으로는 갠지스강 유역, 남쪽으로는 스리랑카 전역, 서쪽으로는 몰디브와 락샤드위프, 동쪽으로는 말레이 반도와 수마트라 섬 일부에까지 영향력을 행사하는 광대한 제국으로 발전했다. 그가 세운 거대한 사원들은 이러한 군사적 업적과 당시 촐라 제국의 강력한 국력을 상징하는 기념물로 남아 있다.[14][64]
2. 2. 1. 촐라-찰루키아 전쟁

라젠드라 1세는 아버지 라자라자 1세의 통치 기간인 1002년부터 군사 원정을 이끌며 서찰루키아를 상대로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다. 그는 라스트라쿠타를 정복하고, 992년부터 1008년 사이에 라테파디, 바나바시, 토아누르 등 서찰루키아의 여러 도시를 습격하고 합병했다. 또한 크리슈나 강과 퉁가바드라 강 사이의 라이추르 지역 대부분을 포함하는 찰루키아 영토, 북서부 마이소르의 바나바시, 그리고 수도 마냐케타를 정복했다. 라젠드라는 바트칼에 시바 사원을 세웠으며, 현재의 텔랑가나 지역에 있는 콜리파카이 (하이데라바드 북쪽)도 정복했다. 카르나타카주 콜라르에서 발견된 타밀어 비문에는 그의 초기 정복 활동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 행운의 여신이 변치 않고 증진되었으며, 위대한 대지의 여신, 전투에서의 승리의 여신, 비할 데 없는 명성의 여신이 그의 위대한 왕비가 되어 기뻐했던 코파라케사리반마르 스리 라젠드라 솔라 데바의 통치 8년차에, 그의 광대한 생애 동안 그의 위대한 전쟁 군대로 연속적인 숲의 울타리로 둘러싸인 이다이투라이-나두와 바나바시, 슐리 나무로 둘러싸인 콜리파카이, 요새에 접근할 수 없는 만나이카다캄을 정복했다.[15]
1015년, 자야심하 2세가 서찰루키아의 왕위에 올랐다. 그는 이전 왕 사티아슈라야가 라자라자 1세에게 패배하여 조공을 바치는 신세가 되었던 손실을 만회하고자 했다. 자야심하 2세는 라젠드라 1세가 스리랑카 원정에 집중하는 동안 초기에는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18]
1021년, 동찰루키아 왕국인 벵기의 왕 비말라디티야가 사망하자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했다. 자야심하 2세는 비말라디티야의 아들 비자야디티야 7세를 지지했지만, 라젠드라 1세는 자신의 조카이자 촐라 공주 쿤다바이(라젠드라 1세의 누이)의 아들인 라자라자 나렌드라를 지지했다.[18] 라젠드라 1세는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조카 라자라자 나렌드라가 비자야디티야 7세를 물리치고 벵기 왕위를 차지하도록 도왔다.[19]
라젠드라 1세는 마스키 전투에서 자야심하 2세와 싸웠다.[18] 그는 90만 명의 강력한 군대를 이끌고 1019년 또는 1020년에 벌어진 마스키 전투에서 자야심하 2세를 결정적으로 격파했다. 동부 전선에서도 라젠드라 1세는 벵기의 통치자들을 물리쳤고, 이후 촐라 북인도 원정에서 승리한 후 그의 조카가 벵기의 왕으로 즉위하게 되었다.
2. 2. 2. 촐라의 아누라다푸라 정복


아버지 라자라자 1세 치세 하에 라젠드라 1세의 지휘관 발라바라이얀 반디야데반은 스리랑카를 침공하여 수도 아누라다푸라를 약탈한 군대를 지휘했다. 새로운 촐라 왕조의 수도는 폴론나루와에 자리 잡았으며, 라자라자의 칭호인 "자나나타망갈람"으로 개명되었다. 촐라 관료 탈리 쿠마란은 마하티타(현대 만토타, 마나르) 마을에 라자라제슈바라("라자라자의 군주")라는 시바 사원을 세웠으며, 이곳은 라자라자-푸라로 개명되었다. 섬의 촐라 점령 지역은 뭄무디 촐라 또는 라젠드라의 아버지인 라자라자 1세를 따서 뭄무디촐라만달람으로 명명되었다.
라젠드라의 아버지 라자라자 1세는 재위 기간 동안 스리랑카 북부의 아누라다푸라 왕국을 병합했다. 라젠드라는 1017년 남부의 폴론나루와 왕국을 침공했다.[20] 촐라의 습격은 라자라타에서 로하나로 남쪽으로 시작되었다. 라젠드라는 그의 치세 5년째에 섬을 완전히 정복했다고 주장했다. 로하나 남동부 지방을 포함한 아누라다푸라 전체가 촐라 제국에 편입되었다. 싱할라 연대기 ''마하밤사''에 따르면, 아누라다푸라의 정복은 싱할라 군주 마힌다 5세 치세 36년, 즉 1017년에서 1018년경에 완료되었다. 그러나 촐라 왕조는 섬 남부에 대한 통제를 결코 공고히 하지 못했는데, 이는 촐라의 장기적인 점령을 유혹할 크고 번영하는 정착지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라젠드라 치세 하에 스리랑카에서 촐라의 약탈적 확장은 한계에 이르렀다. 쿨라밤사와 카란다이 비문에 따르면, 라젠드라는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아누라다푸라로 진격하여 마힌다 5세의 왕관, 왕비, 딸, 막대한 재산, 그리고 왕 자신을 사로잡았다. 라젠드라는 마힌다 5세를 포로로 인도에 데려갔으며, 그는 1029년에 망명지에서 사망했다.
촐라 왕조가 로하나를 정복한 지 11~12년이 지난 후, 마힌다 5세의 아들 카사파 왕자는 로하나에 숨어 있었고, 촐라군은 그를 찾기 위해 수색했으나 실패했다. 마힌다 5세의 죽음 직후, 카사파는 싱할라 왕위를 카사파 6세(비크라마바후라고도 알려짐)로 이어받아 1029년부터 1040년까지 로하나에서 통치하며 해방과 통일을 위한 작전을 조직하려 했다. 그는 로하나에서 11~12년간 촐라의 지배가 끝난 후 로하나의 왕이 되었다. 판디아 왕조와 체라 페루말 왕조에서 일어난 반란을 틈타, 부다와 키티라는 이름의 두 싱할라 단다나야카(장군)가 로하나의 팔라투파나에서 6개월에 걸친 전투 끝에 촐라 수비대를 격파했다. 95,000명 규모의 촐라군 잔여 병사들은 다키나 공국을 가로질러 풀라틴나가라(폴론나루와)로 도망쳤다. 카사파 6세 왕자는 풀라틴나가라를 공격했지만 두 번째 공격을 감행하기 전에 질병으로 사망했다. 그 후, 북부에서 촐라를 몰아내지 못한 채, 일련의 비싱할라 출신 왕위 찬탈자들이 로하나에서 나타났다가 사라졌다. 1040년 카사파 6세의 의문의 죽음으로 비자야바후가 등장하기 전까지 전쟁이 종식되었다. 그의 계승자 마할라나-키티(1040~1042)는 촐라에 대한 반란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폴론나루와의 비자야바후 1세(1055–1110)는 람바카나 2세 가문으로 알려진 싱할라 왕가의 후손이거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 17세가 되기 전에 그는 로하나에서 가장 강력한 라이벌들을 물리쳤고 촐라와 맞서 싸우기를 열망했다. 당시 스리랑카는 산발적이고 격동적인 지도자들과 기회주의적인 반역자들이 많아 싱할라 왕들과 촐라 모두에게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었다. 로하나를 근거지로 둔 비자야바후 역시 비슷한 어려움에 직면했는데, 그는 촐라보다 자신의 독립에 더 큰 위협으로 여겼던 지역 지도자들의 적대감과 싸워야 했다. 이러한 이유로 촐라는 로하나의 반군 지도자들로부터 형식적인 지원을 받기도 했다. 비자야바후는 촐라에 대한 결정적인 작전을 시작하기 위해 확고한 영토 기반을 다지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다른 한편으로, 촐라는 북부에서 비슷한 반대 세력을 제거해야 했다. 점차 분쟁은 오랫동안 지속되는 약탈과 반격의 소모전으로 발전했다. 비자야바후의 군대는 폴론나루바를 공격했고, 보복적인 촐라의 공격과 포위를 견디기 위해 다키나데사와 로하나의 요새로 후퇴하는 과정을 반복했다. 비자야바후는 결국 촐라를 물리치고 그들을 섬에서 몰아내어 고대 스리랑카의 주권을 회복했다.
2. 2. 3. 촐라의 북인도 원정

1018년 스리랑카 북부를 다시 확보한 라젠드라 1세는 인도 북부로 눈을 돌렸다. 1021년 차티스가르 남부의 사카라코아탐을 점령한 후, 그는 군대의 일부를 북쪽 갠지스강 유역으로 파견했다.[12] 이 원정군은 오디샤의 오다 비샤얌과 탄다부티, 북부 차티스가르의 코살라 나두, 자르칸드의 타카나 라담과 우타라 라담, 오늘날 방글라데시의 방갈라 데삼 지역을 차례로 점령하며 북진하여 마침내 갠지스강에 도달했다.[12]
1022년에 원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서, 촐라 왕조의 영토는 북쪽으로 고다바리강 동쪽 강둑까지 크게 확장되었다. 이 위업을 기리기 위해 라젠드라 1세는 스스로에게 '간가이콘다 초라'(கங்கைகொண்ட சோழன்|강가이콘다 촐란ta, 갠지스강을 정복한 촐라 왕)라는 칭호를 부여했다. 또한 그는 카베리강 하구 북쪽 인근에 새로운 수도 간가이콘다 촐라푸람 건설을 명하고, 이곳에 웅장한 궁전과 시바 신을 모시는 대사원을 세웠다.[12] 갠지스강에서 가져온 성스러운 물을 채운 '촐라 갱감'이라는 거대한 저수지도 만들어 승리를 기념했다.[12]
2. 2. 4. 라젠드라 촐라 1세의 동남아시아 원정
스리위자야는 수마트라 팔렘방을 중심으로 한 왕국으로, 샤일렌드라 왕조가 통치했다. 마라 비자야퉁가바르만 통치 시기 스리위자야는 라자라자 1세 치하의 촐라 제국과 우호 관계를 유지했고, 마라 비자야퉁가바르만은 나가파티남에 추다마니 비하라를 건설하기도 했다. 그의 뒤를 상그라마 비자야퉁가바르만이 이었다.크메르 제국의 황제 수르야바르만 1세는 말레이 반도의 탐브랄린가 왕국과 전쟁을 벌이며 라젠드라 1세에게 지원을 요청했다.[29][30] 수르야바르만 1세와 라젠드라 1세의 동맹 소식을 들은 탐브랄린가는 스리위자야에 도움을 청했고, 상그라마 비자야퉁가바르만은 이를 수락했다.[29][31] 이는 촐라 제국이 스리위자야를 침공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충돌에는 종교적인 배경도 있었는데, 촐라와 크메르 제국은 힌두교 시바파였던 반면, 탐브랄린가와 스리위자야는 대승 불교를 신봉했다.[32][33]
촐라 제국은 해적 행위와 대외 무역을 통해 이익을 얻었으며, 때때로 촐라 해군의 원정은 동남아시아까지 이어져 약탈과 정복을 수행했다.[34] 스리위자야는 말라카 해협과 순다 해협이라는 두 개의 주요 해상 교역로를 통제하고 있었다.
라젠드라 1세의 해외 원정은 1023년에 시작되었다. 1025년, 라젠드라 1세는 대규모 함대를 이끌고 인도양을 건너 스리위자야를 침공하여 오늘날의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여러 지역을 공격했다.[35] 촐라군은 스리위자야의 수도였던 카다람(케다)과 수마트라의 판나이, 팔렘방을 약탈했으며, 말레이 반도의 말라유르도 공격했다.[39] 함대는 인근 섬 방카(Bangka)의 메빌리방함, 동부 수마트라 본토의 판나이, 북부 수마트라의 일라무리데삼을 차례로 점령했다. 이후 말레이시아로 이동하여 북동부의 발라이판두르와 북서부의 카다람(케다)을 점령했다. 여기서 촐라군은 북쪽으로 이동하여 남동부 태국의 일란카소캄, 동부 태국의 마타말링감, 남서부 태국의 탈라이탁콜람을 점령했다. 그 후 함대는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마나카바아렘, 남부 미얀마(버마)의 항구 도시 마그파팔람을 점령하고 귀환했다.[9] 또한 오늘날 말레이시아와 태국 남부에 위치했던 탐브랄링가와 강가 나가라 왕국도 침략했다.[36][37][38] 이 과정에서 촐라군은 스리위자야의 마지막 샤일렌드라 왕조 통치자인 상그라마 비자야퉁가바르만을 사로잡았다.[39] 촐라의 동남아시아 원정은 1024년에 종료되었고, 정복한 지역에 대한 상세 내용은 1025년 그의 메이케르탄에 기록되었다.[33]
카다람(케다) 정복의 승리를 기념하여 라젠드라 1세는 "카다렘콘단"(카다람을 정복한 자)이라는 칭호를 얻었고, 원정을 이끈 손자 중 한 명에게는 "카다렘콘다 촐란"이라는 칭호가 주어졌다. 오늘날 타밀나두의 쿠디말루르 지역은 "카다레콘다 촐라푸람"으로 명명되었으며, 티루바루르 및 아리얄루르 지역의 일부 마을 이름(키다랑콘단, 카다람콘다 촐라푸람 등)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 그는 또한 타밀나두 북부에 카다렘콘다 촐라에스와렘이라는 시바 사원을 건립했다.[28] 수마트라의 스리 비자야에 대한 승리를 기념하여 타밀나두 에룸부르에 비자이암콘다 촐라에스와렘이라는 시바 사원을 지었다.[13]
촐라의 침략은 스리위자야에게 큰 타격을 주었으며,[40][41] 해상 세력은 크게 약화되었다.[42] 촐라군은 리고르, 케다, 투마식(현재 싱가포르)를 포함한 스리위자야 영토의 상당 부분을 일시적으로 정복했다.[42][43] 이 침략은 마니그라맘, 아야볼 및 아이누루바르와 같은 타밀 상인 조합이 동남아시아로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고,[44][45][46][47] 이후 한 세기 동안 남인도의 타밀 무역 회사가 이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40][41] 라젠드라 1세의 원정은 후대의 말레이 연대기인 ''세자라 말라야''에서 '라자 쿨란'으로 기록되기도 했으며, 일부 말레이 왕족 이름에 '쿨란' 또는 '촐란'이 사용되기도 했다.[48][49][50][51][52] 한 기록에서는 라젠드라 1세를 수마트라 북부 라무리의 왕으로 묘사하기도 한다.[53] 이 침략은 스리위자야 샤일렌드라 왕조의 몰락을 가져왔으며, 불교 학자 아티샤가 1025년 수마트라에서 인도로 돌아간 시기와 일치한다.[54]
촐라의 침략은 파괴적이었지만, 스리위자야 만다라는 소멸하지 않았다. 촐라의 공격은 비교적 짧았고 주로 약탈을 목적으로 했기 때문에, 촐라 제국은 스리위자야에 직접적인 행정 통치를 확립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 침략은 스리위자야의 패권을 심각하게 약화시켰고, 해상 무역 대신 농업에 기반한 자바의 카후리판 왕국과 그 후계자인 케디리 같은 지역 왕국들이 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스리 데바가 새로운 왕으로 즉위하여 무역 활동을 재개했고, 1028년에는 중국에 사절단을 보냈다.[55] 침략 이후 타밀 상인들은 전통적으로 말레이 상인들이 장악했던 스리위자야 영토로 진출했으며, 타밀 길드의 영향력은 말레이 반도와 수마트라 북부 해안에서 증가했다.[55]
타밀 길드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스리위자야와 촐라의 관계는 점차 개선되었다. 촐라 귀족들이 스리위자야 궁정에 받아들여졌고, 1067년에는 라젠드라 1세의 조카인 디바카라(데바칼라)라는 촐라 왕자가 스리위자야 사절로 중국 황실에 파견되기도 했다. 그는 1070년 쿨로퉁가 촐라 1세로 즉위했다. 이후 케다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스리위자야는 촐라에 도움을 요청했고, 1068년 비라라젠드라 촐라는 해군을 보내 스리위자야가 케다를 되찾도록 지원했다.[56] 비라라젠드라는 스리위자야 마하라자의 요청에 따라 케다 왕을 복위시켰고, 케다는 다시 스리위자야의 주권을 인정했다.[57][56]
2. 3. 내치 및 문화
1019년 갠지스강 유역 원정[21]과 1025년 스리비자야 왕국 원정[22][23][24][25] 등 성공적인 군사 활동 이후, 라젠드라 1세는 국내 통치와 문화 발전에도 힘썼다.갠지스강 원정 승리를 기념하여 "강가이콘다 촐라"(Gangaikonda Chola, 갠지스강을 정복한 촐라)라는 칭호를 얻었으며[61], 새로운 수도 강가이콘다촐라푸람을 건설했다. 이 도시는 '갠지스강 정복자의 도시'라는 의미를 지니며, 카베리강 하구 북안 부근에 위치했다. 약 250년간 촐라 왕조의 수도 역할을 수행했다.[64] 이곳에는 웅장한 궁전과 강가이콘다 촐레스와라 사원이 세워졌다. 이 사원은 아버지 라자라자 1세가 탄자부르에 세운 브리하데스와라 사원을 모델로 삼았다.[66] 강가이콘다촐라푸람은 타밀 바스투 샤스트라와 아가마 샤스트라에 따라 계획되었으며, 인공 호수(콜라강감)와 성벽 등 기반 시설을 갖추었다. 콜라강감 저수지는 '승리의 액체 기둥'으로 묘사될 정도로 큰 규모였다. 궁궐은 구운 벽돌로 지어졌으며, 사원과 터널로 연결되어 있었다. 라젠드라 1세 이후 대부분의 촐라 왕들은 이곳에서 즉위식을 거행했다. 현재는 브리하디스와라 사원만 남아있고, 다른 사원들과 궁궐은 13세기 말과 14세기에 파괴되어 터만 남아있다.[65]

동남아시아 원정 성공 이후에는 "카다람 콘단"(Kadaram Kondan, 케다를 정복한 자)이라는 칭호를 얻었다.[61] 또한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뭄무디 촐란"(세 개의 왕관을 가진 촐라)이라는 칭호와[62], 정복을 기념하는 "무디곤다 촐란", "이라타파디콘다 촐란", "찰루키아-추다마니"(찰루키아의 보석)[63] 등 여러 칭호를 사용했다.
라젠드라 1세는 스리랑카 트린코말리에 있는 코네스와람 사원을 개발하고, 인근의 파티라칼리 암만 사원도 후원했다.[67] 이 사원들은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순례자들이 찾는 중요한 종교 중심지가 되었다. 코네스와람 사원은 역사 문헌인 ''마타칼라푸 마니얌'' 등에서도 중요하게 언급된다.[68]
그는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왕실의 후원이 증가함에 따라 사원과 마을 회의(우르, 사바)의 역할이 커졌다. 특히 토지 기증('데바다나', '브라만데야')이 늘면서 사원은 막대한 자원을 관리하게 되었고, 저수지 관리 위원회(에리-바리얌)나 정원 관리 위원회(토타-바리얌) 같은 전문 위원회들이 활발히 활동했다.
문화적으로 라젠드라 1세는 시바 신을 찬양하는 찬송가를 지은 시인이었다고 전해진다. 또한 갠지스강 유역 원정 이후 많은 시바교 브라만들을 촐라 지역으로 데려와 칸치푸람과 카베리강 삼각주 일대에 정착시켰으며, 이들은 시바차리아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28][60] 그의 북인도 원정은 벵골 지역에 세나 왕조가 들어서는 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되며[28], 미틸라 지역의 카르나타족 역시 촐라 군대의 후손일 수 있다는 설이 있다.[28] 또한 말레이시아의 ''히카얏 이스칸다르 줄카르나인''과 같은 문헌에서는 미낭카바우족 왕족 등 일부 동남아시아 왕족의 계보가 라젠드라 1세(라자 촐란)를 거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스칸다르 줄카르나인)까지 이어진다고 기록하기도 한다.[70][71][72]
1018년에 아들 라자디라자를 공동 통치자이자 후계자로 임명했다. 라자디라자는 판디아, 찰루키아와의 전쟁 등 주요 군사 활동을 이끌었다. 당시 주요 관료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직책/칭호 |
---|---|
발라바라이야르 반디야데바르 | |
야다바 비마 "우타마 촐라" 밀라두다이야르 | |
강가이콘다 촐라 밀라두다이야르 | |
단다나야칸 나라칸 크리슈난 라만 | |
마라얀 아루몰리 "우타마 촐라" 브라흐마마라얀 | |
탈라이그라마 인달라데바 |
[1]
서적
A Textbook of Medieval Indian History
Primus Books
라젠드라 1세의 통치와 업적은 여러 비문을 통해 확인된다. 첸갈파투 지역 아디푸리슈와라 사원 비문에는 그의 탄생 별자리(티루바다라이)가 기록되어 있으며, 생일을 기념하여 사원에 기부한 내용이 담겨 있다.[73] 탄자부르 지역 코네라자푸람 우마마헤스바라 사원 비문에는 그의 통치 3년에 알바르 파란타칸 쿤다바이-피라티야르가 기부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74] 아버지가 세우고 라젠드라가 확장한 라자라제스와라무다이야 마하데바르 사원 벽에도 그의 많은 기부를 기록한 비문이 남아 있다.[75]
외교적으로는 북송과 교류하여 1020년과 1033년에 사절을 파견했다. 이는 무역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동찰루키아 왕가와의 관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 조카인 라자라자 나렌드라와 자신의 딸 아만가 데비를 결혼시켰다.
후대에 라젠드라 1세는 위대한 정복 군주이자 문화 후원자로 기억되었다. 시인 오타코타르는 그의 작품 ''비크라마 초란 울라''에서 라젠드라의 정복 활동을 칭송했다.[69] 현대에 와서는 인도의 상선 해군 훈련선 'TS 라젠드라'가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고[76], 마하라슈트라 주 정부는 그의 초상화를 마자가온 독에 헌정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77] 그는 타밀어 영화 ''라자라자 촐란''(1973)에서 배우 시바쿠마르에 의해 연기되었으며, 비디오 게임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II: 데피니티브 에디션''의 확장팩 '인도의 왕조들'에서는 그의 캠페인이 포함되었다.[78] 또한 아킬란의 『벤가이인 마인단』, 벰부 비키라만의 『강가푸리 카발란』, 산딜리안의 『만난 마갈』, 발라쿠마란의 『강가이 꼰다 촐란』, 바라티카의 『울라감 벤드라 촐란』 등 여러 역사 소설에서 그의 생애와 업적을 다루고 있다.
3. 죽음
라젠드라 1세는 1044년 현재의 타밀나두주 티루반나말라이 구에 위치한 브라흐마데삼에서 사망했다. 이 정보는 그의 아들인 라자디라자 촐라 1세가 남긴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
비문에는 라젠드라 1세의 왕비 비라마하데비가 남편의 죽음을 따라 사티를 행했으며, 그녀의 유해는 브라흐마데삼에 있는 라젠드라 1세와 같은 무덤에 안치되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또한, 라젠드라 군대의 장군이었던 왕비의 오빠 마두란타카 파라케사리 벨란이 누이의 죽음을 기리기 위해 같은 장소에 배수 시설을 건설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참조
[2]
뉴스
Rajendra Chola Birth Anniversary: Local Holiday Announced in Ariyalur District
https://timesofindia[...]
2022-07-19
[3]
서적
Sri Brihadisvara: The Great Temple of Thānjavūr
Nile Books, 1998
[4]
문서
The Imperial Pandyas: Mathematics Reconstructs the Chronology
[5]
웹사이트
Sri Vijaya-Malayu 1299, Singapore and Sumatran Kingdoms
https://eresources.n[...]
2023-08-03
[6]
서적
Sejarah Melayu: sebagai karya sastra dan karya sejarah : sebuah antologi
https://books.google[...]
Pusat Bahasa, Departemen Pendidikan Nasional
[7]
서적
Singapore and the Silk Road of the Sea, 1300_1800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13-09-30
[8]
서적
The Penguin History of Early India: From the Origins to AD 1300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9]
간행물
The Politics of Plunder: The Cholas in Eleventh-Century Ceylon
https://www.cambridg[...]
1976-05
[10]
서적
Nagapattinam to Suvarnadwipa
ISEAS
[11]
간행물
New Light on the Sun Temple of Konarka
http://dx.doi.org/10[...]
1975
[12]
웹사이트
Valanchulivanar, varalaaru aivum aivu varlarum
http://www.varalaaru[...]
varalaaru.com
2020-08-18
[13]
간행물
Trade and Statecraft in the Age of Cōlas. By Kenneth R. Hall. New Delhi: Shakti Malik Abhinav Publications, 1980. Pp. viii, 238. Acknowledgements, Appendices, Bibliography, Index.
http://dx.doi.org/10[...]
1982-09
[14]
간행물
PLACE OF TOURIST INTEREST IN THANJAVUR DISTRICT – A STUDY
https://www.jetir.or[...]
2017-12
[15]
문서
Epigraphia Carnatica, Volume 10, Part 1, page 32
[16]
문서
See Sastri, K. A. N., ''A History of South India''
[17]
서적
Epigraphia Carnatica: Volume X: Inscriptions in the Kolar District
https://archive.org/[...]
Department of Archeology, Mysore State
2015-08-04
[18]
문서
See Sastri, K. A. N., ''A History of South India''
[19]
문서
''Proceedings of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page 70''
[20]
문서
''Indian History with Objective Questions and Historical Maps Twenty-Sixth Edition 2010, South India page 59''
[21]
문서
The Cōlas
University of Madras
[22]
문서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by Sailendra Nath Sen
[23]
문서
West Bengal District Gazetteers: Nadīa
[24]
문서
The Cambridge Shorter History of India
[25]
문서
Dimensions of Human Cultures in Central India by Professor S.K. Tiwari
[26]
문서
Sastri
[27]
문서
Sastri
[28]
문서
Sastri
[29]
문서
"Khmer Commercial Development and Foreign Contacts under Sūryavarman I"
Brill Publishers
1975-10
[30]
문서
Early Kingdoms of the Indonesian Archipelago and the Malay Peninsula
[31]
간행물
"The Overseas Expeditions of King Rājendra Chola"
https://www.jstor.or[...]
Artibus Asiae Publishers
[32]
문서
"Khmer Commercial Development and Foreign Contacts under Sūryavarman I"
Brill Publishers
1975-10
[33]
문서
"The Overseas Expeditions of King Rājendra Cola"
Artibus Asiae Publishers
[34]
서적
Societies, Networks, and Transitions: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2-04-23
[35]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36]
서적
The Sea and Civilization: A Maritime History of the World
[37]
서적
Leaves of the Same Tree: Trade and Ethnicity in the Straits of Melaka
[38]
간행물
Epigraphia Carnatica, Volume 10, Part 1
[39]
서적
Nagapattinam to Suvarnadwipa: Reflections on the Chola Naval Expeditions to Southeast Asia
[40]
서적
The History of Singapore
[41]
서적
Between Two Oceans: A Military History of Singapore from 1275 to 1971
[42]
서적
Southeast Asia: Past and Present
[43]
문서
[44]
서적
Buddhism, Diplomacy, and Trade: The Realignment of Sino-Indian Relations 600-1400
[45]
서적
Power and Plenty: Trade, War, and the World Economy in the Second Millennium
[46]
서적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Early Medieval India and the expansion of Islam 7th-11 centuries
[47]
서적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48]
서적
History Without Borders: The Making of an Asian World Region, 1000-1800
[49]
서적
Nagapattinam to Suvarnadwipa: Reflections on the Chola Naval Expeditions to Southeast Asia
[50]
서적
Buddhism, Diplomacy, and Trade: The Realignment of Sino-Indian Relations
[51]
서적
Aryatarangini, the Saga of the Indo-Aryans
[52]
서적
India and Malaya Through the Ages
[53]
서적
Al-Hind: The Slave Kings and the Islamic Conquest
[54]
서적
Atisa and Tibet: Life and Works of Dipamkara Srijnana
[55]
서적
Early Kingdoms of the Indonesian Archipelago and the Malay Peninsula
https://books.google[...]
Editions Didier Millet
[56]
서적
Nagapattinam to Suvarnadwipa: Reflections on the Chola Naval Expeditions
[57]
서적
Early Kingdoms of the Indonesian Archipelago and the Malay Peninsula
https://books.google[...]
Editions Didier Millet
[58]
서적
Studies in Indian place names, Volume 6
Published on behalf of the Place Names Society of India by Geetha Book House, 1984
[59]
서적
Studies in Indian place names, Volume 6
Published on behalf of the Place Names Society of India by Geetha Book House, 1984 - India
[60]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A.D. 985-1206, Volume 4, Part 1,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K. K. Dasgupta
People's Publishing House, 1992
[61]
서적
Nagapattinam to Suvarnadwipa: Reflections on the Chola Naval Expeditions to .Southeast Asia
[62]
서적
Temples of South India
[63]
서적
Tamil Epigraphy: A Survey
Ennes Publications, 1980
[64]
서적
Faiths Across Time: 5,000 Years of Religious History [4 Volumes]: 5,000 Years of Religious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1-15
[65]
서적
Nagapattinam to Suvarnadwipa: Reflections on the Chola Naval Expeditions to Southeast A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66]
서적
Art of the Imperial Chola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67]
서적
The evolution of an ethnic identity: The Tamils in Sri Lanka C. 300 B.C. to C. 1200 A.D.
Vijitha Yapa
2007
[68]
서적
An outline of the cultural history and principles of Hinduism
Stangard Printers
[69]
문서
[70]
서적
Seni dan nasionalisme: dulu & kini
https://books.google[...]
Balai Seni Lukis Negara
[71]
서적
Singapore and the Silk Road of the Sea, 1300_1800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13-09-30
[72]
서적
Brunei: From the Age of Commerce to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15-03-09
[73]
서적
Middle Chola Temples: Rajaraja I to Kulottunga I, A.D. 985-1070
Thomson Press (India)
[74]
서적
Middle Chola Temples: Rajaraja I to Kulottunga I, A.D. 985-1070
Thomson Press (India)
[75]
웹사이트
SIVAN KOIL – SIVAPURAM
https://www.tnarch.g[...]
2023-08-26
[76]
웹사이트
Press release, President address
http://pib.nic.in/ne[...]
2016-06-01
[77]
뉴스
Rajendra Chola: Maharashtra to dedicate Tamil emperor Rajendra Chola's portrait to Mazgon Docks
https://timesofindia[...]
2018-01-11
[78]
웹사이트
Age Of Empires 2: Definitive Edition - Best Campaigns, Ranked
2023-04-13
[79]
서적
A Textbook of Medieval Indian History
Primus Books
[80]
서적
The Penguin History of Early India: From the Origins to AD 1300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81]
간행물
The Politics of Plunder: The Cholas in Eleventh-Century Ceylon
https://www.cambridg[...]
1976-05
[82]
서적
Nagapattinam to Suvarnadwip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